지그문트 프로이트(비교)
r18 vs r19 | ||
---|---|---|
... | ... | |
9 | 9 | [목차] |
10 | 10 | [clearfix] |
11 | 11 | == 개요 == |
12 | 엄청난 변태이다. |
|
12 | 엄청난 변태이다.[* 아동은 달을 보면 어머니의 젖가슴을 연상한다는 등 별 신빙성 없는 개소리도 많이 했지만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로 대표되는 현대에서도 통용되는 접근법 또한 셀 수 없을 정도로 많이 제시했다.] |
|
13 | 13 | |
14 | 14 | 그와 별개로 정신분석학이나 심리학 역사에서는 뺼 수 없는 중요한 사람이다. |
15 | 15 | |
... | ... | |
19 | 19 | |
20 | 20 | 현대에 이르러 프로이트 까기가 일종의 유행같던 시기가 있었는데 결국 현재까지 유아, 아동심리학에선 주구장창 우려먹히고 있다. |
21 | 21 | |
22 | 문학과 영화, 회화를 막론하고 예술 분야에 끼친 영향력 또한 지대하다.[* 회화 분 |
|
22 | 문학과 영화, 회화를 막론하고 예술 분야에 끼친 영향력 또한 지대하다.[* 회화 분야에선 살바도르 달리가 프로이트의 오랜 팬으로 유명하고 영화 감독으로는 데이빗 린치, 아리 애스더 등이 유명하다.] [* 국내에서 프로이트의 이론에 충실한 작품의 예로는 김기덕 감독의 필모그래피 전부와 박찬욱 감독의 <올드보이>가 있다.] |
|
23 | 23 | |
24 | 24 | == 여담 == |
25 | 25 | 찰리 카우프만의 영화 <이제 그만 끝낼까 해>에서 여주인공의 입을 빌어 “프로이트적인 개소리”라며 언급된 바가 있다. 이와 별개로 해당 영화는 서사 구조와 인물 유형 등에서 상당히 프로이트적이다. |
... | ... |